전체 글 (230) 썸네일형 리스트형 국가별 주요증시명/특징 한국 : 코스피지수* KOSPI지수- 증권시장에 상장된 상장 기업의 주식 변동을 기준 시점과 비교 시점으로 비교해 작성한 지표이다.- 상한가, 하한가가 적용돼 가격의 오름폭, 내림폭이 제한된다.- 코스피 지수는 1980년 1월4일 100포인트 기준으로 시작했다.- 코스피 시장에서는 주식의 액면분할이 허용된다. 미국 : 다우산업지수 일본 : 니케이225지수 대만 : 가권지수 홍콩 : 항셍지수 중국 : 상해종합지수 독일 : DAX 닥스지수 골든크로스 vs 데드크로스 주가이동평균선일정기간 동안의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인 주가이동평균을 차례로 연결해 만든 선으로, 주가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지표 주식시장이 상승추세일 때단기이동평균선이 장기이동평균선 위에 있음. 주가 오름세일 때는 150일선보다는 75일선이, 75일선보다는 25일선이 위에서 움직이게 된다. 이처럼 이동평균선들이 기간에 따라 위에서 아래로 단계적인 모양새를 갖추고 있는 양상을 흔히 고 표현한다. 데드크로스 Dead Cross주가의 단기(50일)이동평균선이 중장기(200일)이동평균선을 아래로 뚫는 현상. 데드크로스는 정배열형태로 움직이던 이동평균선들이 반대의 개념인 역배열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초기신호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데드크로스는 주식시장이 약세로 전환되고 있음을 시사함. 골든크로스(Golden Cross.. 자본잠식률 구하기 자본금>자본총계 자본잠식이 시작된 기업 부분자본잠식 : 자본금의 일부가 잠식된 상태 완전자본잠식 : 자본금의 전부가 잠식된 상태 회사초기에는 자본잠식상태에 빠질 수 있음 자본잠식상태의 회사는 감자를 통해 서류상 위기에서 빠져나오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회사가 자본을 충실히 쌓아야 할 필요가 있음. 자본잠식률 = (자본금-자본총계)/자본금×100 ex 자본금100, 자본총계50 자본잠식률 50% ■ 리쇼어링 Reshoring 리쇼어링 Reshoring 해외진출 기업의 본국 회귀 2) 5/20 기사, 규제특구 만들어 기업들 리쇼어링 유도산업단지 대개조 및 상생형 지역일자리 사업- 민간시장 활력- 산업경쟁력 제고- 지역경제 활성화활용을 잘 한다면 국내 기업들의 리쇼어링을 유도할 수 있다.이 사업을 활용해 규제완화 구역(규제특구)으로 지정하고, 이런 방법을 통해 특정산업을 집적화 할 수 있음. 서머타임, 일광절약시간제 지금이 오전8시라면 오늘부터는 오전9시야!라고 1시간씩 땡겨 하루를 빨리 시작하는 것 우리나라보다 시간이 늦은 미국. 그러다보니 미국과의 시차는 1시간 줄어들게 됨 일광절약시간제 DST Daylight Saving Time 낮이 길어지는 여름철에 표준시를 1시간 앞당기는 제도. 낮시간을 활용해 에너지를 절약하고 경제활동을 촉진하자는 취지. 유럽국가를 비롯해 전 세계 70여개국이 시행 원래 미국 뉴욕 GMT는 -5 (우리나라랑 14시간차)올해 미국 서머타임 2020년3월8일~11월1일 이때는 GMT -4로 계산 (우리나라랑 13시간차) 크런치 모드 Crunch mode 업무 마감시한을 앞두고 수면, 위행, 기타 개인 생활을 희생하면서까지 연장 근무하는 행태를 뜻하는 용어. 주로 게임 등 소프트웨어 개발 업계에서 관행적으로 이뤄져 왔다. 엔젤투자 개인들이 돈을 모아 창업하는 벤처기업에 필요한 자금을 대고 주식으로 그 대가를 받는 투자형태를 말한다. 통상 여럿의 돈을 모아 투자하는 투자클럽의 형태를 띈다. 자금 지원과 경영 자문 등으로 기업 가치를 올린 뒤 기업이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거나 대기업에 인수합병(M&A)될 때 지분 매각 등으로 투자 이익을 회수한다. 직접투자와 간접투자 방식이 있다. ◆직접투자=개인이 기업과 직접 접촉해 투자하거나 여럿이 모여 정보를 공유하고 기업설명회(IR) 등을 함께 듣는 엔젤클럽 활동을 통해 자기 책임하에 투자. ◆간접투자=49명 이하의 개인이 모여 결성하는 개인투자조합(펀드)에 출자하는 방식. 투자 대상 선정은 펀드매니저 역할을 하는 업무집행조합원(GP)이 담당. 투자한 기업이 성공적으로 성장하여 기업가치가 올라가면.. 20/05/19 자산유동화 제도 개선 목적- 기업이 부실자산으로 유동화를 하는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여 유동화 증권의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취지.- 금융사의 신용보강에 주로 의존해온 기업들이 함께 책임져야 할 위험 보유 규모를 표준화해서 기초자산의 품질을 높일 것. 개선안1. ABS(자산유동화증권), ABCP(자산유동화기업어음)을 발행하는 기업은 증권의 일부 물량을 직접 사들어야 함.- 5% 수준의 신용위험을 짊어지는 위험보유 규제 도입- 물량의 5% 가량을 가장 후순위 상품을 통해 매입해야 함. 2.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관련된 ABCP(자산유동화기업어음)의 부동산금융위험을 줄이기 위한 방안 검토- 프로젝트 기간 만기를 짧게 해 여러 차례에 걸쳐 차환 발행되고 있는 ABCP의 만기를 조정- 증권사의 신용공여 제한( 근거 : 과거에..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