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뉴스/경제 지표, 보고서

코로나19가 한국경제에 미친 충격에 관한 상반기 구체적 지표

728x90

한국은행,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 -1.4%(전기대비)로 잠정 집계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침체 등이 1분기 성장률을 1.9~2.0%p 끌어내린 것으로 분석

cf.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4분기 (-3.3%) 후 11년3개월 만의 최저치

 

5월 둘째주, 4월 고용동향

국내 고용 시장이 외환위기 직후 수준으로 악화된 것으로 느러남

3월 취업자 감소폭 19.5만명 (전년 동월대비)

4월 취업자 감소폭 47.6만명 (전년 동월대비) 3월에 비해 2.5배 수준

코로나19발 '고용쇼크'가 갈수록 커지고 있음을 확인시켜 줌

cf. 1999년 2월 (65.8만명) 후 약 21년만에 최대 감소 폭

 

 

5/21목 통계청 1분기 가계동향조사

7200개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올 1분기 가계의 소득 및 지출 상황을 알려줌
이를 퐁해 코로나1 9영향을 받기 시작한 1분기의 소득1분위 가구 대비 5분위 가구의 소득격차가 어떻게 변했는지 파악할 수 있음.

아무래도 1분위와 5분위간 소득격차가 커질것으로 전망.

근거1) 코로나19가 상용직 일자리보다 소득 하위 가구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임시, 일용직 일자리를 더 크게 악화시키는 양상이 뚜렷하기 때문. 올해1분기에는 상용근로자 58만명 증가, 임시,일용직 근로자 27.9만명 감소했음. 이 때문에 1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감소해서 소득격차가 다시 확대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소득1분위 : 소득하위20%
 소득5분위 : 소득상위20%

cf. 19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 1분위와 5분위 가구 간 소득격차가 2년만에 좁혀졌음

 

 

5/20수 한국은행 1분기 가계신용 잠정치 

가계신용 잠정치가계 부채 규모가 어떻게 변했는지 알려줌

가계신용 = 은행, 대부업체의 대출 + 신용카드 할부액 같은 판매신용

cf) 19년말 기준 가계신용잔액 : 1600조1300억원 (처음으로 1600조 돌파)

 

 

5/20수 KDI(한국개발연구원) 2020년 상반기 경제전망

코로나19 충격을 계기로 올해와 내년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얼마나 끌어내릴지가 관심.

cf. KDI 19년 하반기 경제전망 : 20년 국내 경제성장률 2.3% 예상

    IMF도 2.2%예상했으나 4/14 -1.2% 낮춤

 

 

5/21목 한국은행 4월 생산자물가

국제 유가 급락세가 4월에도 이어져 전달(-0.5%)에 이어 마이너스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