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적은 규모 또는 소수로는 불확정적이나 대규모 또는 다수로 관찰하면 거기에 일정한 법칙이 있게 되는 것.
관찰 횟수가 많아질수록 일정하게 규칙적 관계가 나타나는 것. 관찰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일시적 혹은 우연적인 원인 등이 상쇄되기 때문.
ex. 사망률에 관한 대수의 법칙
사람의 사망에 관해서도, 어떤 특정인이 언제 사망할 것인지 예측할 수 없으나,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해서 관찰해 보면 매년 일정한 비율로 사망하는 것을 알 수 있음
ex. 회사채 등급산정, 자동차 보험료산정, 은행의 신용대출금리산정, 개인연금 납입금산정 등은 이러한 대수의 법칙에 의해 결정된 것.
'경제 뉴스 > 경제용어,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코본드 CoCo Bond 조건부 전환가능 채권 (0) | 2020.05.27 |
---|---|
왝더독 Wag the dog (0) | 2020.05.27 |
칵테일 위기, 칵테일 리스크 (0) | 2020.05.24 |
스테이블 코인 Stable coin (0) | 2020.05.24 |
리브라 Libra (0) | 2020.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