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뉴스/경제용어, 개념

채권내재등급 BIR

728x90

채권내재등급(BIR. Bond yield Implied Rating)
- 신용 상태를 시장에서 평가한 수익률, 또는 스프레드를 기반으로 본 신용등급을 말함.
- 통상 신용평가사가 방법론을 토대로 평가해 산출한 신용등급과는 차이가 있다.
- ex 일례로 한 기업의 신용등급이 AA+이지만, 시장에서 거래되는 금리가 AA0 등급 수준이라면 채권내재등급은 AA0 등급으로 평가할 수 있다.
- 발행자의 원리금 상환과 채무상환능력에 대한 평가가 해당 채권 수익률에 반영돼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BIR은 시장 분위기와 수요를 고려한 등급으로, 신용등급 조정 전 선행지표로 여겨지기도 한다.
- BIR이 실제 신용등급보다 높을 경우 등급 상향 조정 기대가 커지는 것이다. 반대로 BIR이 신용등급을 밑돌 경우 신용등급 하향 조정 우려가 커질 수 있다.
- 다만 최근 발행이 없거나 유통 종목 수가 낮은 발행사를 평가할 때는 적합하지 않다.

ex) 미래에셋대우에 따르면 한진칼LG전자, SK하이닉스 등의 BIR은 신용등급을 상회한다. 반면 호텔신라롯데렌탈, 한화솔루션의 BIR은 신용등급을 밑돈다.

'경제 뉴스 > 경제용어,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학개미  (0) 2020.09.26
주식분할이란?  (0) 2020.09.26
워런트 Warrant  (0) 2020.09.24
킬러합병  (0) 2020.09.23
상하이 컨테이너선 운임지수(SCFI)  (0) 2020.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