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서든 스톱 Sudden stop
1) 예상치 못한 외국 자본유입의 중단에 이은 대규모 외자유출의 발생으로 외화유동성이 고갈되는 현상을 말한다.
대표적인 사례)
-1997년에 발생한 아시아 외환위기
-1999년의 러시아 모라토리엄
-2007년의 미국 서브프라임 위기
2009년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으로 외국 자본의 유입이 주춤하자, 한국은행은 ‘주요국의 서든 스톱 및 정책대응 사례분석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신흥시장이 서든 스톱에 대응하는 노력을 지속했음에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규모 자본유출과 외환시장의 불안정성을 경험했다고 밝혔다. 이를 방지하고 외화부문의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단기외채의 축소와 외환파생상품의 위험을 감소하는 것을 제안했다.
2) 선진국의 통화긴축 등으로 신흥국에 유입되는 자본이 급감하거나, 신흥국에서 대규모 자본이 유출되 경제위기로 이어지는 현상
1995년 루디 거 돈부시 MIT교수가 멕시코 페소화 가치 붕괴의 원인을 다루면서 이 용어를 처음 사용.
외환보유액 등이 충분치 않을 경우 한 나라 경제를 위기에 빠트릴 수도 있다.
대표적 사례)
- 실제로 2008년 리먼브러더스 파산 이후 전 세계 금융기관들이 일제히 자금 회수에 나서면서 한국 금융시장은 극심한 달러 고갈로 위기를 맞기도 했다.
'경제 뉴스 > 경제용어,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ABL 자산담보대출 Asset based lending (0) | 2020.05.18 |
---|---|
프로젝트 파이낸싱 PF (0) | 2020.05.18 |
카니보어 시스템 Carnivore System (0) | 2020.05.18 |
리니언시 Leniency (0) | 2020.05.18 |
스팩 SPAC (0) | 2020.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