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Classy(고급의) + Fake(가짜) = 고급의 가짜?!
진짜를 압도할 만큼 멋진 가짜 상품이나 그런 상품을 소비하는 추세를 뜻하는 경제합성어를 의미.
목적
1) 개개인의 취향을 인정 > 서로의 가치를 포용
2) 사회인식 개선 > 사회적 가치 실현
예시)
(1) 채식주의자들을 위한 콩으로 만든 스테이크
(2) 의류브랜드 라코스테, 총10종의 멸종 위기 동물들을 로고로 새긴 셔츠를 선보여 멸종위기 동물에 대한 관심 환기, 환경보존 활동을 지원
(3) 인조모피 사용의 상용화 / 조화 등장 : 싸구려, 가짜로 여겨지기 보다는 윤리적이고 인도적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음.
(4) 바이오 플라스틱 : 가짜 플라스틱, 클래시 페이크의 친환경적인 사례. 버려지면 썩지 않는 플라스틱 대신에 옥수수와 사탕수수, 콩 등 자연에서 추출된 원료로 만들어져서 기존의 플라스틱 역할을 하면서도 버려진 후 퇴비로 사용될 수 있어 환경보호에 적합. 상용화되지는 못했지만, 머지 않아 기존의 플라스틱이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예금보험공사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ppykdic/221964252676
'경제 뉴스 > 경제용어,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장기업 감사의견 (의견거절) (0) | 2020.05.18 |
---|---|
휘소가치 (0) | 2020.05.17 |
팃 포 탯 (tit for tat) (0) | 2020.05.13 |
팝콘 브레인(popcorn brain) (0) | 2020.05.13 |
ELS 주가연계증권 (0) | 2020.05.13 |